유교
1. 고구려는 수도에 태학에서, 지방에서는 경당에서 슬쓰기와 화쏘기 가르침
2. 신라는 임신서기석을 통해 유학교육이 행해졌음 알 수 있음
3. 신라 설총은 '화왕계'를 지어 신문왕에게 조언하고 한자의 음과 훈을 차용한 이두를 정리
설총은 원효대사 아들임
4. 신라 김대문은 진골귀족 출신으로 <화랑세기>, <고승전>, <한산기> 등 저술
5. 신라 말에 최치원은 당에 건너가 당나라 과거시험인 빈공과에 합격하여 <토황소격문>, <계원필경> 지음
6. 신라 원성왕은 유교적 학식을 갖춘 관리의 채용을 위해 독서삼품과를 시행하여 원성얻음
7. 발해는 주자감에서 교육
역사
1. 고구려 영양왕 때, 이문진이 "유기"를 간추린 <신집> 편찬
2. 백제 근초고왕이 고흥에게 <서기> 편찬하게 함
3. 신라 진흥왕은 거칠부에게 <국사> 편찬하게 함
도교
1. 고구려 사신도는 도교 사상과 밀접한 관련
2. 백제 금동 대향로는 도교와 불교과 융합된 모습
3. 신라의 화랑도 >후에 1930년대 일제강점기 민족주의사학 신채호의 낭가사상에 영향
불교
1.고구려 수수림왕은 중국 전진으로부터 불교 수용
2. 백제 침류왕은 중국 동진으로부터 불교 수용
3. 신라 법흥왕은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불교 공인
4. 신라 원효 vs 의상 + 혜초
-원효는 화쟁 사상(원흉회통), 일심사상, 아미타 신앙(정토종) 무애가를 지어 불교 대중화 노력, <대승기신로소>, <십문화쟁론>, <금강삼매경론> 저술
-의상은 화엄 사상 정립, 관음신앙 강조, 화엄종, 일즉다 다즉일, 부석사 창건, <화엄일승법계도>
-혜초는 인도와 중앙아시아를 다녀와서 <왕오천축국전>
5. 통일신라 말에는 선종이 유행하여 호족의 후원으로 발달, 9개 종파인 9산 선문 성립
불상
불탑
1. 백제
-무왕 때 건립된 익산 미륵사지 석탑은 목탑에서 석탑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모습을 보임 (무왕-서동, 선화)
-부여 정림사지 5층 석탑은 목탑의 구조를 띈 석탑으로 평제탑이라고 불리기도 함(나당전쟁에 의해 패배 후에 당나라 장군이 남아있어서..)
2.신라
-경주 분황사 모전 석탑은 벽돌 모양으로 깎아 만든 석탑
-신라 선덕 여왕 때 자장의 건의로 세워진 경주 황룡사 9층 목탑은 고려 때 침공으로 소실 됨
3. 통일신라
-경주 불국사 3층 석탑은 석가탑, 무영탑으로도 불리며, 신라식 석탑의 정형으로 간결하고 비례가 아름다운 것이 특징
: 무구정광대다라니경 발견
-경주 감은사지 3층석탑 (삼국을 통일한 문무왕의 유업을 이어받아 아들인 신문왕이 세움)
-양양 진전사지 3층석탑은 지방 호족에 의해 세워졌으면 1층 몸돌에 비천상과 불상 조각이 새겨진 것이 특징
-신라 말 선종의 유행으로 승탑이 많이 제작,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
4. 발해
-영광탑은 벽돌로 만든 전탑으로 완전한 형태로 보존된 유일한 발해 탑, 발해 원래 우리땅이 였는데.... 현재 기준으로는 중국 땅이니 중국에 있음
'미래를 위한 한국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1. 고려의 정치 feat. 묘청의 서경천도 운동이 성공했다면 조선의 망할 성리학도, 일제강점기도 없었을텐데 (0) | 2022.02.02 |
---|---|
고대5. 과학, 건축, 고분, 일본과의 교류 feat.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인쇄물은 우리나라에 무구정광대다라니경 (0) | 2022.01.28 |
고대3. 경제와 사회 feat. 신라 골품제도 완전 별로다 (0) | 2022.01.28 |
고대2. 통일 신라와 발해 feat. 발해를 꿈꾸며, 발해 기록은 왜 없는것인가 우리땅인디 (0) | 2022.01.28 |
고대1. 고구려, 가야, 백제, 신라 feat. 왜 하필 신라가 통일했을까? (0) | 2022.01.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