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래를 위한 한국사 공부

조선전기4. 성리학, 불교, 역사, 지리, 법, 음악 feat. 이황과 이이, 8할이 세종대왕 절대음감

by 천박사 2022. 2. 6.
반응형

조선전기 성리학

1. 성균관은 최고 관립 교육기관으로 입학 자격은 소과 합격자인 생원과 진사를 원칙으로 하였다.

: 제사를 지내는 대성전과 교육을하는 명륜당을 중심으로 구성

 

2. 한양에는 중등 교육 기관으로 4부 학당을 두어 유학 경전을 교육하였다.

 

3. 전국의 부·목·군·현에 하나씩 설립된 향교에는 중앙에서 교수나 훈도가 파견되었다.

 

4. 서원은 지방의 사림 세력이 주로 설립하였고, 교육과 함께 선현에 제사를 지냈다.

: 최초의 서원은 주세붕이 중종 때 지은 백운동 서원. 국왕에게 현판을 하사 받은 서원은 사액 서원. 백운동 서원은 후에 이황이 건의하여 소수 서원이 됨.

이황 천원, 이이 오천원, 이이는 오만원의 아들

5. 이황과 이이

이황 (퇴계 이황, 1천원) 이이 (율곡 이이, 5천원, 신사임당 아들)
-이理의 능동적 역할 중시 > 근본적, 이상주의적 성향
-성학십도, 주자서절요 저술
-일본의 성리학 발전에 영향을 줌
-예안 향약 시행
-기氣의 역할을 상대적으로 중시 > 현실적, 개혁적 성향
-성학집요, 동호문답, 격몽요결 저술
-현실 개혁 제시 (수미법 등)
-해주 향약, 서원 향약 시행
이황의 영남학파 : 주리론 이이의 기호학파 : 주기론
동인(조식, 이황의 학풍 계승)
-남인 : 이황의 학풍 계승
-북인 : 서경덕과 조식의 학풍 계승
서인(이이, 성혼의 학풍 계승)
-노론 : 이이의 학풍 계승
-소론 : 성혼의 학풍 계승

-이황은 선조를 위해 군주의 도를 도식으로 설명한 성학십도를 저술하고, 이이는 군주가 수양해야 할 덕목을 제시한 성학집요를 저술했다.

-이황은 기대승과 사단칠정 논쟁을 전개하였고, 이이는 방납의 폐단을 줄이고자 수미법을 주장하였다.

 

 

조선전기 불교

1. 조선은 숭유억불 정책의 하나로 승려에게 허가증을 발급하는 도첩제를 시행하였다.

 

2. 세종은 교단을 정리하고, 아들인 수양대군(세조)에게 최초의 훈민정음 산문자료인 <석보상절>을 편찬하게 시켰다.

 

3. 세조는 불교를 좋아해서 불교 경전을 훈민정음으로 번역하고 왕실 내 불교 행사를 관장하는 간경도감을 설치했다.

 

 

조선전기 역사

1. 조선 전기 고려의 역사를 기전체로 정리한 "고려사"와 편년체로 정리한 "고려사절요"가 편찬되었다.

 

2. 조선왕조실록은 사초, 시정기를 바탕으로 실록청에서 편찬하였고(춘추관) 유네스코문화유산에 등재되어있다.

 

3. 성종 때 서거정 등이 고조선부터 고려까지의 역사를 편년체로 서술한 "동국통감"을 편찬하고, 역대 문학 작품을 선별하여 "동문선"을 편찬하였다.

 

조선전기 지리

1. 태종 때 동양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세계지도인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가 만들어졌다.

태종,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중국이 짱큰것으로 보아 중국이 세상의 중심인줄 아는 중화사상이 엿보인다

 

2. 세종 때 전국지도인 팔도도가 그려졌다.

 

3. 성종 때 각 도의 지리, 풍속 등이 수록된 동국여지승람이 편찬되었다.

: 이후 중종때는 신증동국여지승람으로 보충되어 편찬됨. 이 외 <팔도지리지>, 신숙주의 일본 여행기인 <해동제국기>도 모두 성종 때

 

 

조선전기 법과 윤리

1. 경국대전은 세조 때 편찬작업이 시작되어 성종 때 완성된 조선 왕조의 기본 법전이다.

: 조선후기 되어서 영조의 <속대전>, 정조의 <대전통편>, 흥선대원군의 <대전회통>

 

2. 세종 때 충신, 효자, 열녀의 이야기를 글과 그림으로 구성한 "삼강행실도"가 편찬되었다.

 

3. 성종 때, 신숙주와 정척과 함께 국가와 왕실의 각종 행사를 유교의 예법에 맞게 정리한 <국조오례의>, 어린이가 지켜야할 예절을 기록한 <동몽수지>, 우리 역사와 중국 역사를 간략히 서술한 초급 교재 <동몽선습>이 편찬되었다.

 

4. 중종 때, 연장자와 연소자가 친구처럼 의견을 나누는 <이륜행실도>가 편찬되었다.

 

5. 17세기 김장생이 주희의 가례를 증보 해설하여 예학을 조선의 현실에 맞게 정리한 <가례집람>이 편찬되었다.

 

 

조선전기의 음악

세종대왕과 박연이 함께 만든 정간보, 푸른눈 귀화인 박연과 다른 박연임

1. 세종 때, 박연과 아악을 체계화한 정간보를 창안하고 세종대왕은 절대 음감이었다고 한다.

2. 성종 때, 성현 등이 음악 이론 등을 집대성한 "악학궤범"이 간행되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