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래를 위한 한국사 공부

개항기3. 동학농민운동, 갑오개혁, 을미개혁, 아관파천, 광무개혁, 대한제국 feat. 한능검 개항기 흐름 순서 외우기

by 천박사 2022. 2. 8.
반응형

개항기2. 개항 이후 1876년 강화도조약 ~ 1884년 갑신정변

개항기1. 흥선대원군 섭정기 1863~1873

 

병인박해~ 대한제국까지 잡고 가야 할 굵직한 개항기 흐름 순서 

병인박해 → 제너럴셔먼호 사건 → 병인양요 → 오페르트 남연군 도굴 사건 → 신미양요 → 흥선대원군 물러남

→ 운요호사건 → 강화도조약 → 고종 개화정책(통리기무아문, 별기군, 사절단들)

→ 조·미 수호통상조약 → 임오군란(조·청 상민 수륙무역장정, 제물포조약)

→ 1833년 개혁 시리즈 (기기창/전환국/박문국/혜상공국 설치, 원산학사 설립, 보빙사 파견)

→ 갑신정변(텐진조약, 한성조약) → 영국의 거문도불법점령 → 동학농민운동 → 청·일 전쟁

→ 갑오개혁 → 을미사변 → 을미개혁 → 아관파천 → 대한제국

 

 

1894년 동학농민운동 이전의 대내외 상황

1. 청과 일본 외에도 영국, 러시아, 미국 등과 조약을 맺으며 혼란한 상태

-1882년에 미국과 서양 국가와 최초의 조약인 조·미 수호 통상 조약을 맺었다.

: 양국 중 한 나라가 다른 나라와 분쟁이 생겼을 때 원만히 해결될 수 있도록 돕는 거중 조정 조항, 관세권 행사 조항을 최초로 맺고, 조약 상대국에게 최혜국 대우를 최초로 규정한 불평등 조약

 

-임오군란 이후 청나라와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을 맺어 조선에서 청 상인의 내지 통상이 가능해졌다.

: 그 탓으로 객주, 여각 등 국내 중간 상인의 활동이 위축

 

-1883년 조·일통상장정으로 일본 상품에 대한 관세 부과 규정이 마련되고, 일본으로의 곡물 유출을 막을 수 있는 방곡령의 선포가 가능해졌으며 청나라처럼 내지무역이 가능해졌다.

: 1876년 강화도 조약의 부속조약인 조·일 무역 규칙에는 때 관세도 없고 무제한 곡물 유출이 가능해서 피해를 봤었음.  방곡령으로 나아지는 듯 했으나 함경도, 황해도, 충청도 등지의 지방관이 수십 차례 방곡령을 내렸지만 일본 측의 항의로 번번이 해제되었다. 

방곡령 사건
: 내리면 뭐해 일본놈들이 트집잡으며 해제하는 것을..

1889년, 1890년 함경도, 황해도 과날사가 내린 방곡령은 양국 간 외교적 마찰로 확대되어, 일본 상인놈들이 피해를 보았다며 오히려 손해 배상을 요구하고 조선 정부는 배상한 사건

-1885년부터 1887년까지 영국은 러시아를 견제한다는 구실을 내세워 거문도를 불법 점령하였다. 

 

2. 유길준은 한반도의 중립화를 제기하였으며, "서유견문"을 집필하여 서양의 근대 문물을 소개하였다.

: 유길준은 후에 조사시찰단과 보빙사에 참여하고 을미개혁 때 단발령을 주도

: 독일인 부들러도 함께 한반도 중립화론 제기

 

3. 1885년 경복궁에 최초의 전신과 1887년 전등 설치, 1886년 공립교육기관인 육영공원 설립, 1885년 최초의 서양식 병원인 광혜원(제중원으로 이름 바뀜), 1883년 우리나라 최초의 신문인 한성순보를 박문국에서 간행하였다.

 

 

보국안민 깃발이 보이는 동학농민운동 그림 속 전봉준

1894년 동학농민운동 전개 a.k.a 반봉건 반외세(반침략) 성격의 민족 운동

1. 동학교도는 공주, 삼례 등지에 모여 교조 신원 운동을 전개하였다.

 

2. 1894년 군수 조병갑의 학정에 분노한 고부 농민들이 전봉준을 지도자로 하여 고부관아를 습격하였다.

 

3. 동학 농민군은 백산에 집결하여 4대 강령을 발표하고 보국안민, 제폭구민을 기치로 내걸고 봉기하였다.

 

4. 1차 동학농민운동

동학 농민 군은 1차 봉기 때 황토현 전투와 황룡촌 전투에서 관군을 물리치고 전주성을 점령하였다.

: 이 때, 청이 출병하고 갑신정변에서 청과 일이 맺은 텐진조약에 따라 일본군도 파병됨 <우리나라 안에서 해결되었어야 되는데 청과 일본이 개입하면서 문제가 커져 동학농민군은 정부와 화약을 맺기로 함

 

5. 동학 농민군은 정부와 전주 화약을 맺은 후 집강소를 설치하고 폐정 개혁안을 실천해 나가고 정부는 교정청을 설치해 개혁에 착수하고 청과 일본 양국에 철병을 요구하였다.

: 교정청은 바로 그해에 일어난 1차갑오개혁 때 군국기무처가 설치된후 폐지.

폐정개혁안의 신분제를 없애고 토지를 균등배분하고, 과부의 재가를 허용 등 요구사항은 갑오개혁에 반영됨

 

6. 2차 동학농민운동

정부가 철병을 요구하였지만 안나가고 버티던 일본은 경복궁을 무단으로 점령하고 조선 정부에 내정 개혁을 강요하자 동학농민군이 2차 봉기를 일으켰다. 2차 봉기 당시 전봉군이 이끄는 남접과 손병희가 이끄는 북접이 논산에서 연합 부대를 형성하여 서울로 북상하였다. 공주 우금치에서 갑오개혁의 군국기무처관군과 일본군 연합에 맞서 싸웠으나 크게 패하였다.

: 일본군이 경복궁을 무력으로 점령하며 청·일 전쟁이 우리나라 땅에서 일어나게 됨 

 

1894년 갑오개혁의 전개 (2차 동학농민운동과 시기가 겹친다)

1. 김홍집 내각은 군국기무처를 중심으로 제1차 갑오개혁을 추진하였다.

: 청나라 연호를 폐지하고, 개국 기원을 사용, 중앙의 행정 기구를 6조에서 8아문으로 개편

 

2. 1차 갑오개혁 때 은 본위 화폐 제도를 채택하고, 도량형을 통일하였으며 조세의 금납화, 탁지아문으로 재정일원화, 과부재가 허용, 조혼금지, 연좌제 폐지, 공사 노비법 혁파, 과거제 폐지 등의 경제 사회적 개혁을 했다.

 

3. 제2차 갑오개혁 때 군국기무처를 페지하고 고종은 국정 개혁의 기본 방향을 제시한 홍범 14조를 반포하였다.

: 지방행정구역을 8도에서 23부로 개편하고 재판소를 설치하여 사법권을 독립 시킴, 내각 7부로 운영

 

4. 제2차 갑오개혁 때 교육 입국 조서가 반포되고 이에 따라 근대식 교육제도가 마련되어 교원 양성을 위한 한성 사범학교가 설립되고 외국어 학교 관제가 마련되었다.

 

 

프랑스 주간지에 실린 명성황후 시해사건. 일본놈들은 근본이 없네 깡패를 데리고 한나라의 왕비를 암살하다니

1895년 을미사변과 을미 개혁 전개 a.k.a 청일전쟁에서 일본 승리, 러시아 프랑스 독일 삼국의 간섭

1. 청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하여 청과 일본은 시모노세키조약을 맺고 중국은 일본에게 요동반도를 내주었지만 러시아, 프랑스, 독일 3국이 일본을 견제하여 일본이 요동반도를 다시 중국에 반납하였다.

 

2. 일본은 조선 정부가 친러정책을 추진하자 명성 황후를 시해한 을미사변을 일으켰다.

 

3. 친일적인 김홍집 내각이 추진한 을미개혁 때 태양력이 채택되고 건양이라는 연호가 제정되었다.

: 단발령, 종두법 시행

 

4. 을미사변과 단발령 시행에 반발하여 을미의병이 일어났다.

: 양반 출신 유인석, 이소응 활약

 

 

1896년 아관파천과 독립협회의 활동 

1. 을미사변 이후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긴 아관파천이 일어났다.

 

2. 서재필은 미국에서 돌아와 독립신문을 창간하고 독립협회를 창립했다.

: 독립문, 독립관을 건립하고 만민공동회를 개최하여 민중 계몽과 민권 신장을 추구. 러시아의 절영도 조차 요구에 반대하는 활동과 한·러 은행을 폐쇄하며 자주 국권 운동. 

 

3. 독립협회는 관민 공동회를 열어 헌의 6조를 결의하고 정부에 건의하였다.

: 헌의6조에는 입헌 군주제 지향, 탁지부로 재정 일원화, 피고의 인권 존중 등의 내용 포함

 

4. 독립 협회는 중추원 개편을 통한 의회 설립을 추진하였으나 고종이 측근 세력들이 독립협회에 대항하기 위해 조직한 황국 협회와 군대에 의해 강제 해산되었다.

 

 

1897년 대한제국 수립과 광무개혁

1. 고종은 경운궁으로 환궁한 후 대한 제국의 수립을 선포하였다.

: 경운궁은 지금의 덕수궁. 1907년 순종 즉위 직후 이름을 바꿈

 

2. 대한 제국은 황실 중심의 근대적 개혁인 광무개혁을 추진하고 대한국 국제를 반포하였다.

: 구본신참의 원칙에 의거하여 점진적 개혁 추구

 

3. 광무개혁 때 황제의 군 통수권 장악을 위해 황제 직속의 원수부를 설치하고, 양전사업을 실시하고 지계를 발급하였으며 관립 실업 교육 기관인 상공 학교가 설립되고, 최초의 전차와 최초의 철도인 경인선이 개통

 

 

 

반응형

댓글